오시는 길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곡반정로 160, 라퍼스트
성장하는 아이들의 성장통, 골절, 외상, 척추측만증, 편평발 등
소아,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치료로 우리 아이들의 건강을 지켜드립니다.
사경은 경부가 뒤틀려 두부가 한쪽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머리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목은 외쪽으로 향하고 있으면 사경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보통 목의 근육인 흉쇄유돌근의 섬유화로 인해 구축 및 단축이 생겨 한쪽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으며
경추의 이상이나 눈의 이상으로도 올 수 있습니다.
근육의 과긴장 및
이상 경련
근력의 약화
상부 경추, 턱관절의 부정렬
뇌신경의 협착
성장통은 흔히 말하는 성장판이라는 부분이 연골로 돼있는데 연골이 늘어나면서 골막이 당겨져 통증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원인으로는 활동량이 많은 아이가 본인의 뼈가 견딜 수 있는 능력보다 많이 사용하게 되어
성장통이 생긴다는 이론도 있습니다. 또한 성장통이 비타민 D가 결핍되어 생긴다는 이론도 있습니다.
인대의 성장속도
차이
골막이 늘어나
주위 신경을 자극
활동량이
많은 경우
놀이나 운동 중에 넘어지거나 뛰어내리다가 팔을 뻗은 채 손을 지면에 짚으면서 골절을 당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기 때문에 소아 골절의 약 70% 이상은 팔 부상이 가장 많습니다.
손목과 아래팔뼈(요골과 척골), 팔꿈치, 빗장뼈(쇄골) 등의 순서로 잘 다칩니다.
교통 사고의 경우에서는 대퇴골이나 종아리뼈(경골과 비골) 골절이 흔하고, 닫히는 문이나 문지방에 충격되면 손가락이나 발가락 골절이 생깁니다.
뼈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성장기 어린이나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골절은 성장장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놀이나 스포츠 활동 시
직접적인 충격
닫히는 문에
의한 충격
교통 사고
낙상 사고
아기가 뒤집기를 하고 기어다니기 시작하면 한눈판 사이 침대나 소파에서 떨어지는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아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머리가 커 낙상 시 두부 외상의 비율이 높습니다.
때문에 머리에 손상이 생긴게 아닐 지 걱정하게 되는데, 실제 가정에서 발생한 대부분의 낙상이 심각한 손상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뭅니다.
하지만 경련 및 심한 두통 또는 구토 증세를 보이거나 자꾸 자려고 하는 증상을 보일 경우 외적으로 문제가 없어 보이더라로 지연성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추적 관찰을 통해 증상이 발생하는 즉시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으셔야합니다.
넘어지거나
높은 곳에서
뛰어내려 착지한 경우
뛰어 내리다
팔을 뻗은 채
짚게 되면서 외상을
당한 경우
자동차 문틈에 손가락이
끼어 손가락 외상이
발생한 경우
‘일과성’이란 병의 증상이 잠시 나타났다가 곧 없어지는 성질을 뜻하는데, 관절을 둘러싸는 막 중에 관절액을 만드는 활액막에 일시적으로 염증이 생긴 것입니다.
고관절 통증 환아의 약 85%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흔한 질환이며, 대부분 적절한 휴식으로도 호전이 됩니다.
하지만 예후가 좋지 않은 세균성 고관절염과는 감별이 진행되어야 합니다. 대개 3-12세 사이의 소아에게서 많이 발생하고, 여아보다는 남아에게 많이 생깁니다.
세균성, 바이러스 감염
외상 및 중이염 등
원인불명
많은 활동량
척추측만증은 기능성 척추측만증과 구조적 척추측만증으로 나뉩니다.
기능성 척추측만증은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일시적으로 허리가 휘어진 상태를 말하며, 생활습관을 바로 하고, 골반 또는 다리 길이를 바로 잡으면 정상적으로 좋아질 수 있습니다.
구조적 척추측만증은 척추 자체가 꼬이고 휘어 만곡이 생겨서 교정되지 않고 점점 진행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 척추측만증, 신경근육 이상으로 인한 신경근육성 척추측만증, 신경섬유종증 척추측만증, 류마티스 질환, 외상, 감염에 의한 측만증이 여기에 속합니다.
요통과 척추기형
평소 구부정한
자세 유지
운동량 저하로
허리 지탱하는 근육 부족
의자에 앉을 때
다리를 꼬는 행동
장시간 책상 앞에
앉아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편평발로 태어나 발의 종 아치가 6~8세 이후에 완성됩니다.
편평발은 기능상에 문제가 없어서 질환이라고 보기 어려운 경우부터, 강직과 기능 장애를 동반하는 변형까지 포함합니다.
편평발은 유연성 편평발과 강직성 편평발로 분류합니다. 유연성 편평발은 체중 부하가 있을 때에는 발바닥이 편평해지지만 체중을 싣지 않으면 안쪽 아치가 나타납니다.
강직성 편평발은 체중 부하와 관계없이 발바닥이 편평한 상태입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당뇨와 같은
신경병성 질환
발목 관절의
골절 등의 후유증
아킬레스건의
긴장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곡반정로 160, 라퍼스트
* 일요일, 공휴일 휴무